티스토리 뷰

반응형

영화 죽은 시인의 사회 포스터

죽은 시인의 사회 정보 및 줄거리

 

영화 '죽은 시인의 사회'는 1989년에 개봉한 감독 피터 위어의 작품입니다. 영화의 중심인물인 존 키팅 역할은 유명배우 로빈 윌리엄스가 연기했습니다. 교육의 방향성에 대해 깊은 생각을 하게 해주는 이 영화는 개봉한 지 오랜 시간이 지났음에도 여전히 많은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명작'이라는 수식어가 붙어 다니는 영화 "죽인 시인의 사회"는 그 인기를 증명하듯 현재까지도 전 세계영화관에서 재개봉을 하고 있습니다. 영화의 메세지를 가장 잘 표현하고 있는 명대사 "카르페 디엠"은 현재를 즐기라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너무 먼 미래를 위해 현재를 희생하는 많은 사람들에게 이 명대사는 깨달음을 주었습니다. 영화는 관람객들로 하여금 진정한 교육의 의미와 행복한 삶에 대해 생각하게 만듭니다. 영화는 아이비리그를 목표로 하는 명문사립고등학교에 키팅 선생님이 부임하는 것으로 시작이 됩니다. 학생들은 일반적인 선생님들과 다른 수업을 하는 괴짜 같은 키팅선생님에게 흥미를 느낍니다. 키팅 선생님은 다른 선생님들과 다른 방식으로 수업을 진행합니다. 대학 진학을 위한 일방적인 주입식 교육이 아닌 학생들이 정체성을 찾고 행복한 인생을 살 수 있도록 하는 교육방식에 학생들은 키팅 선생님을 존경하고 따르게 됩니다. 키팅의 가르침에 따라 학생들은 자신의 내면에 귀 기울이게 되고 정체성을 탐구합니다. 어른들이 정해놓은 성공의 길로 달려가던 아이들이 자유의지를 갖고 행동하는 것에서 문제는 시작됩니다. 부모들은 자식이 대학진학에 도움이 되지 않는 활동을 하는 것에 대해 못마땅해하고 자식을 다그칩니다. 부모가 원하는 삶과 자신들이 원하는 삶의 방향이 어긋나면서 학생들은 많은 혼란과 절망을 겪게 됩니다. 학생들이 자유의지를 갖고 능동적인 선택을 할수록 학교와 가정에서 많은 문제가 일어납니다. 키팅선생님의 제자 중 한 명인 닐은 강압적인 아버지와의 갈등 끝에 자신이 원하는 삶을 살 수 없을 것 같다는 절망감에 괴로워합니다. 자신의 삶이 아닌 부모가 원하는 억압된 삶을 살아야 한다는 절망감에 결국 닐은 스스로 생을 마감합니다. 닐의 죽음에 대한 책임의 화살은 키팅 선생님에게 돌아가고, 결국 그는 학교를 떠나게 됩니다.

 

교육의 본질은 행복한 인생을 살기 위한 지침을 제공하는 것이다.

 

1980년대에 개봉한 이 영화가 보여주는 교육의 형태와 의미는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교육과 놀랍도록 닮았다. 시간의 흐름에 따라 사회에 많은 발전과 변화가 있었지만 '교육'이라는 부문에서는 여전히 제자리 걸음인 것 같다. 많은 청소년기 학생들이 자신의 정체성을 찾기 위한 공부보다는 입시를 위한 정답 맞히기 공부에 목을 매고 있다. 학생들을 평가하기 위해 사회가 정해놓은 교과목에서 두각을 드러내지 못하는 학생들은 상처받고 좌절을 경험한다. 다수의 학생들에게 패배감을 안기는 교육은 과연 교육이라고 볼 수 있을지 의문이 든다. 정답이 있는 교육을 받아온 학생들이 성인이 되어 정답이 없는 문제를 직면했을 때 교육의 부작용이 여실히 드러난다. 영화 '죽은 시인의 사회'는 교육의 문제점을 정확히 지적하고 우리가 추구해야 할 교육에 대해서 이야기한다. 자유의지를 갖고 자신에 대해 탐색하며 행복한 인생을 살아갈 수 있는 힘을 길러주는 것이 교육의 본질이다. 영화의 핵심 캐릭터인 존 키팅 선생님은 대학진학을 위한 주입식 교육을 하지 않는다. 키팅 선생님은 개성있는 영혼을 가진 학생들에게 시를 쓰고, 풍부하고 다채로운 삶을 추구하며, 인생에 대한 진정한 의미를 찾으라고 가르칩니다. 영화는 키팅 선생님이 교육철학을 통해 교육의 본질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자신의 정체성에 대한 끊임없는 고찰을 통해 행복한 삶을 학생들 스스로 창조할 수 있을 때 교육의 힘은 빛을 발합니다. 관람객들로 하여금 교육의 본질에 대해 진지하게 고민하게 만드는 영화 '죽은 시인의 사회'는 많은 여운을 남깁니다.

 

성공적인 인생이란 무엇인가?

 

모든 사람들은 타인에게 인정받는 성공적인 삶을 살고 싶어한다. 매슬로우의 인간 욕구 5단계를 살펴보면 상위층에 존중의 욕구가 있다. 욕구에는 우선순위가 있으며 가장 기초적인 단계의 욕구 충족 이후 서서히 상위층의 욕구를 실현하려고 노력한다. 최상위층에는 자아실현의 욕구가 있다. 결국 우리 모두는 자아실현이라는 최상의 욕구실현을 위해 노력하며 살아가는 것이다. 자아실현의 욕구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기초적인 욕구충족 과정을 통한 자기 탐색의 시간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자기 자신을 잘 알아야 자아실현을 통한 궁극적인 행복을 얻을 수 있다는 이야기이다. 영화 '죽은 시인의 사회'에서는 명문 사립고등학교를 배경으로 한다. 사회가 정의하는  성공적인 삶을 살아갈 확률이 높은 똑똑한 아이들이 다니는 학교를 배경으로 한 것은 현재 교육의 비극을 극대화 하기 위함이라고 생각한다. 학생들은 입시에 필요한 지식은 많이 갖고 있지만 자기 자신에 대해서는 잘 모른다. 그저 어른들이 정해놓은 길을 걷는 것이 맞다고 생각하며 사회적으로 인정받는 직업을 갖기 위해 묵묵히 공부할 뿐이다. 나의 학창 시절을 생각해 보면 나도 성공적인 입시만이 행복한 삶을 가져다줄 것이라는 맹목적인 생각으로 공부했던 것 같다. 학생들은 키팅선생님을 만나며 스스로 생각하는 사람으로 변화한다. 나는 자기 자신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주체적인 삶을 살아가는 사람을 길러내는 것이 교육의 목적이자 성공적인 교육이라고 생각한다. 성공적인 삶의 정의는 사람마다 다르다. 행복에 이르는 길도 여러 가지가 있다. 키팅 선생님은 학생들에게 사회가 만들어 놓은 성공기준에 맞춰 정형화된 삶이 아닌 자신만의 기준을 잣대로 본인이 원하는 삶을 살라는 가르침을 준다. 키팅 선생님의 교육 방식에 변화하는 학생들을 보면서 나의 학창 시절에 대해 생각해 보니 많은 안타까움과 아쉬운 생각이 든다. 영화를 보는 동안 '성공적인 인생의 출발은 교육방식의 변화에서 시작되는 것이 아닐까?'라는 생각을 했다.

반응형